오뚝이개발자

[OS]CH5. 프로세스 스케쥴링 본문

CS 기초/OS

[OS]CH5. 프로세스 스케쥴링

땅어 2020. 10. 12. 15:48
728x90
300x250

 

본 글은 HPC Lab의 youtube 강의를 듣고 요약한 것입니다. 모든 이미지 출처 역시 HPC Lab의 pdf 수업자료입니다.

 

다중프로그래밍이란?(Multi-programming)


스케쥴링이 필요한 이유는 다중프로그래밍 때문이다. 시스템 내에 여러 개의 프로세스가 존재하기에 이들을 효율적으로 스케쥴링 해주어야 하는 것이다. 여기서 자원을 할당할 프로세스를 선택하는 것이 스케줄링이다.

 

스케줄링의 목적


주된 목적은 시스템의 성능(performance) 향상 -> 효율성 증대이다.

그럼 대표적인 시스템의 성능 지표는 무엇이 있을까?

  • 응답시간(response time) : 작업요청으로부터 응답 받을때까지의 시간(interactive or real-time system에서 중요)
  • 처리량(throughput) : 단위 시간 동안 완료된 작업 수(batch system에서 중요)

성능 지표는 다양하기 때문에 목적에 맞는 지표를 고려하여 스케줄링 기법을 선택해야 한다.

 

waiting time, response time, burst time, turn-around time


 

스케줄링 기준


  • 프로세스의 특성 : I/O bounded or compute-bounded
  • 시스템 특성 : Batch system or interactive system
  • 프로세스 우선순위(priority)
  • 프로세스의 긴급성(urgency) : real-time, non-real time

이 외에도 여러가지가 있다.

 

CPU burst vs. I/O burst


프로세스의 수행이라하면 CPU사용 + I/O 대기이다.

  • CPU burst : CPU 사용 시간 -> CPU burst가 더 길면 compute-bounded process
  • I/O burst : I/O 대기 시간 -> I/O burst가 더 길면 I/O-bounded process

burst time은 스케줄링의 중요한 기준 중 하나이다.

 

스케줄링 단계(level)


발생하는 빈도에 따라 long-term, mid-term, short-term scheduling으로 나뉜다. long-term scheduling은 말 그대로 긴 시간 동안 한 번씩 일어나는 스케줄링이다. 

  • long-term scheduling : job scheduling
  • mid-term scheduling : memory allocation
  • short-term scheduling : process scheduling

 

Long-term scheduling


Long-term scheduling에서 하는 Job scheduling시스템(kernel)에 등록할 작업(Job)을 결정한다. 바꿔말하면, 시스템 내의 프로세스 수를 조절해 다중프로그래밍 정도(degree)를 조절하는 것이다. 이 때,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I/O-bounded와 compute-bounded 프로세스를 적절히 섞어서 선택해야 한다. 예컨대, I/O-bounded만 넣어주면 I/O device만 일을 하고 CPU는 쉬게 되어 비효율적이다.

 

Mid-term scheduling


메모리 할당 결정(memory allocation)

  • Swapping(swap-in/swap-out)

 

Short-term scheduling


Process scheduling

  • 프로세서를 할당할 프로세스 결정(dispatcher, scheduler)

가장 빈번하게 발생

  • 매우 빨라야 한다.
  • EX) average CPU burst = 100ms, scheduling decision = 10ms 라면 10/(100+10) = 9%가 scheduling에 쓰이는 것이다. 즉, scheduling 시간이 짧을수록 효율적이다.

 

스케줄링의 단계 개괄


 

스케줄링 정책(policy)


  1. 선점(preemption) vs. 비선점(non-preemption)
  2. 우선순위(priority)

 

선점(preemption) vs. 비선점(non-preemption)


Non-preemptive scheduling

  • 할당 받은 자원을 스스로 반납할 때까지 사용
  • 예) I/O, system call
  • 장점 : context switch overhead가 적음
  • 단점 : 잦은 우선순위 역전, 평균 응답시간 증가

Preemptive scheduling

  • 타의에 의해 자원을 빼앗길 수 있음
  • 예) 자원 할당시간 종료, 우선순위가 높은 프로세스 등장
  • 단점 : context switch overhead가 큼
  • 높은 응답성을 필요로 하는 time-sharing, real-time system에 적합

 

스케줄링 알고리즘


  • FCFS(First-Come-First-Served)
  • RR(Round-Robin)
  • SJF(Shortest-Job-First) = SPN(Shortest-Process-Next)
  • SRJF(Shortest-Remaining-Job-First) = SRTN(Shortest-Remaining-Time-Next)
  • HRRN(High-Response-Ratio-Next)
  • MLQ(Multi-level Queue)
  • MFQ(Multi-level Feedback Queue)

 

FCFS


  • Non-preemptive scheduling
  • 스케줄링 기준 : 도착시간(먼저 도착한 프로세스 먼저 처리)
  • Batch system에 적합, interactive system에 부적합
  • 장점
    • Low scheduling overhead(단순하게 도착한대로 처리하면 되므로)
    • High resource utilization
  • 단점
    • Convoy effect에 의한 긴 평균 응답시간
    • Convoy effect : 실행시간이 긴 하나의 프로세스에 위해 다른 프로세스들의 대기시간이 길어지는 현상

 

RR(Round-robin)


  • Preemptive scheduling
  • 스케줄링 기준 : 도착시간
  • FCFS와 차이점 : 자원 사용 제한 시간(time quantum, δ)이 있음
    • 프로세스는 할당된 시간이 지나면 자원 반납(timer-runout)
  • 장점 : time quantum으로 특정 프로세스의 자원 독점(monopoly) 방지
  • 단점 : context switch overhead가 큼
  • interactive or time-sharing system에 적합
  • time quantum이 시스템 성능을 결정하는 핵심요소
    • too large -> FCFS
    • too small -> 사용자는 모든 프로세스가 각각의 프로세서 위에서 실행되는 것처럼 느낌(체감 프로세서 속도=실제 프로세서 성능의 1/n) + high context switch overhead

 

SJF(Shortest-Job-First) = SPN(Shortest-Process-Next)


  • Non-preemptive scheduling
  • 스케줄링 기준 : 실행시간(burst time)
    • burst time이 가장 작은 프로세스 먼저 처리
  • 장점
    • 평균 대기시간 최소화
    • 빠른 응답시간 제공
  • 단점
    • starvation 발생(burst time이 긴 프로세스는 계속해서 자원 할당 못받을 수도 있다.->aging으로 해결)
    • 정확한 실행시간을 알 수 없다(실행시간은 끝나고나서야 알 수 있으므로)->예측기법이 필요

 

SRJF(Shortest-Remaining-Job-First) = SRTN(Shortest-Remaining-Time-Next)


  • SJF의 변형 -> 잔여 실행시간이 더 적은 프로세스가 ready 상태가 되면 선점됨
  • Preemptive scheduling
  • 스케줄링 기준 : 잔여 실행시간
  • 장점 : SJF의 장점 극대화
  • 단점
    • 잔여 실행 시간을 계속 추적해야 함(overhead)
    • context switching overhead

 

HRRN(High-Response-Ratio-Next)


  • SJF의 변형 : SJF + Aging + Non-preemptive
  • Aging : 대기시간(WT)을 고려해 기회 제공
  • 스케줄링 기준 : response ratio가 높은 프로세스 우선
  • Response ration = (WT + BT) / BT (응답률, 필요한 BT대비 얼마나 걸렸는가를 나타냄)
    • SJF의 장점 + Starvation 방지 + 평균 대기시간 최소화
    • 여전히 실행시간 예측 기법 필요

 

Basic scheduling algorithm


 

MLQ(Multi-level Queue)


  • 작업(or 우선순위)별 별도의 ready queue를 가짐(지금껏 1개의 ready queue만 사용했던 것과 다름)
    • 최초 배정된 queue를 벗어나지 못함
    • 각각의 queue는 자신만의 스케줄링 기법 사용
  • Queue 사이에는 우선순위 기반 스케줄링 사용
  • 장점 : 우선순위가 높은 queue의 경우엔 빠른 응답시간 제공 가능
  • 단점
    • 여러 개의 queue 관리 등 스케줄링 overhead
    • 우선순위 낮은 queue는 starvation 발생 가능

 

MFQ(Multi-level Feedback Queue)


  • Queue간 이동이 허용된 MLQ
  • Feedback을 통해 우선순위 조정
  • 프로세스에 대한 사전정보 없이 SJF, SRJF, HRRN 기법의 효과를 낼 수 있음
  • 단점
    • 스케줄링 overhead가 큼
    • starvation 문제
  • 변형
    • 각 ready queue마다 시간 할당량을 다르게 배정
    • I/O 위주 프로세스들 상위 큐로 이동, 우선순위 높임(시스템 전체 평균 응답시간 최소화)
    • 대기 시간이 지정된 시간을 초과한 프로세스들 상위 큐로 이동(aging)

 

728x90
300x25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