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구글 킥스타트
- CSS
- DFS
- 백준
- 프로그래밍
- 딥러닝
-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 OS
- 리눅스
- dp
- PYTHON
- 코딩
- BFS
- 프로그래머스
- 네트워크
- 킥스타트
- AI
- kick start
- google coding competition
- 운영체제
- 동적프로그래밍
- 동적 프로그래밍
- 그래프
- nlp
- 파이썬
- 순열
- linux
- 브루트포스
- 코딩 테스트
- Today
- Total
목록starvation (2)
오뚝이개발자

Lock이란? Data item에 대한 concurrent access를 control하기 위한 메커니즘 다음의 두 가지 모드가 있다. exclusive mode : r/w 모두 가능. lock-X 명령어로 사용 shared mode : r만 가능. lock-S 명령어로 사용 Lock based protocol 기본 다음과 같은 lock-compatibility가 있다. 쉽게 말해, 모든 트랜잭션은 shared lock을 hold할 수 있다. 다만, 어떤 트랜잭션이 exclusive lock을 갖고 있다면 그 어떤 트랜잭션도 어느 lock이든 hold하지 못한다. 아래는 lock based protocol을 사용하는 스케쥴의 예시이다. 좀 더 나아가서, 아래 예시를 보면 conflict, view ser..

본 글은 HPC Lab의 youtube 강의를 듣고 요약한 것입니다. 모든 이미지 출처 역시 HPC Lab의 pdf 수업자료입니다. 다중 프로그래밍 시스템이란? 시스템 내에 여러 개의 프로세스들이 존재하는 것 공유 자원 또는 데이터가 있을 때, 동기화와 관련된 문제 발생 가능 프로세스 동기화란? 프로세스들이 서로 정보를 공유해 공유 데이터에 관한 동작을 맞추는 것 Critical section(임계영역) 공유 데이터에 접근하는 코드 영역 Race condition : 둘 이상의 프로세스의 공유 데이터에 대한 접근 순서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는 현상(경쟁한다는 의미에서 race) Mutual Exclusion(상호배제) 둘 이상의 프로세스가 동시에 critical section에 진입하는 것을 막는 것 M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