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x250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브루트포스
- 킥스타트
- linux
- PYTHON
- 백준
- AI
- 코딩 테스트
- dp
- 프로그래밍
- 구글 킥스타트
- 운영체제
- 파이썬
- google coding competition
- 알고리즘
- nlp
- 딥러닝
- BFS
- 순열
- 코딩테스트
- 네트워크
- DFS
- kick start
- 동적프로그래밍
- 프로그래머스
- 코딩
- CSS
- 리눅스
- OS
- 그래프
- 동적 프로그래밍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ttl (1)
오뚝이개발자

학습 목차 IP 패킷의 형태 헤더에 포함된 다양한 필드에 대한 설명 단편화와 옵션 MTU의 의미와 단편화의 필요성 단편화의 구체적 방법 IP 패킷의 옵션 종류와 의미 IP(Internet Protocol) 인터넷 프로토콜인 IP는 비신뢰성(unreliable), 비연결형(connectionless) 데이터그램 프로토콜이다 best-effort 전달 서비스를 제공(최선을 다해 패킷을 보내지만 못갈 수도 있다) 에러제어나 흐름제어가 없다 에러검출만 하고 만약 발견되면 폐기한다 신뢰성이 중요한 전송에서는 TCP를 함께 사용해야 한다(이를 TCP/IP라고 부름) IP에서 패킷을 데이터그램이라고도 한다 헤더의 크기는 20~60바이트로 가변적 IP 패킷의 필드 버전(Version:VER) IP프로토콜의 버전을 나타..
CS 기초/네트워크
2020. 11. 13. 10: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