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딥러닝
- google coding competition
- 브루트포스
- 코딩테스트
- 파이썬
- linux
- 알고리즘
- DFS
- nlp
- OS
- CSS
- 코딩
- 프로그래머스
- 코딩 테스트
- 동적 프로그래밍
- 구글 킥스타트
- 그래프
- AI
- kick start
- 동적프로그래밍
- 네트워크
- BFS
- 킥스타트
- 백준
- 프로그래밍
- dp
- 운영체제
- 순열
- 리눅스
- PYTHON
- Today
- Total
오뚝이개발자
위상정렬 본문
개념
위상정렬이란 directed graph에서 꼭짓점을 방향성을 거스르지 않도록 정렬하는 방법이다. 실생활에서 대표적인 예시가 바로 선수과목(prerequisite)이다.
알고리즘
구현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 연결성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인접리스트를 만든다.
- 이를 기반으로 in-degree(해당 vertex로 들어오는 선의 갯수) 정보를 담은 배열을 만든다.
- in-degree가 0인 vertex를 stack에 담는다.
- stack에서 pop하고 해당 vertex와 연결된 점들의 in-degree를 -1 한다.
- 3과 4를 반복하며 stack에서 pop 해줄 때마다 answer 리스트에 담으면 해당 결과가 위상정렬의 결과가 된다.
아래와 같은 그래프가 있다고 하면, in-degree(진입차수) 리스트는 아래와 같다. stack은 처음엔 비어있는 상태이다.
처음에 in-degree가 0인 0과 1이 stack에 push 된다.
stack에서 1을 pop하고 1과 연결된 3,4의 in-degree를 -1 해준다. 그럼 4의 in-degree가 0이 되므로 4를 stack에 push해준다.
다시 stack에서 4를 pop하고 4와 연결된 5의 in-degree를 -1 해준다.
stack에서 0을 pop하고 0과 연결된 2,3의 in-degree를 -1 해준다. 그럼 2의 in-degree가 0이 되므로 2를 stack에 push해준다.
stack에서 2를 pop하고 2와 연결된 3,5의 in-degree를 -1 해준다. 그럼 3의 in-degree가 0이 되므로 stack에 push 해준다.
stack에서 3을 pop하고 3과 연결된 5의 in-degree를 -1 해준다. 그럼 5의 in-degree가 0이 되어 stack에 push 해준다.
stack에서 5를 pop하고 더 이상 vertex가 남아 있지 않으니 종료한다. stack에서 pop할 때마다 answer 리스트에 담아주면 이 결과가 바로 위상정렬의 결과이다. (위상정렬의 결과는 답이 1가지가 아닐 수도 있다.)
왜 in-degree를 사용하면 위상 정렬이 될까? 이유는 간단하다. 조금 생각해보면, 위상 정렬이란 것이 결국 vertex간의 "위상" 즉, 우선 순위를 따져 정렬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처음에 in-degree가 0인 vertex를 찾는다는 것은 결국 그 vertex들 앞에 아무것도 오지 않아서 해당 vertex들이 맨 처음에 와야 한다는 뜻이다. 다음으로 stack에서 pop하고 해당 vertex와 연결된 vertex들의 in-degree를 -1해서 같은 과정을 반복하는 것도 같은 이치이다. 이를 반복하면 결국 위상정렬의 결과를 얻어낼 수 있는 것이다.
참고
'CS 기초 > 자료구조 및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료구조 및 알고리즘] 계수 정렬(Counting sort) (0) | 2020.12.02 |
---|---|
[자료구조 및 알고리즘] DFS로 connected component 구하기(union find) (0) | 2020.11.16 |
[자료구조 및 알고리즘] 너비우선탐색(BFS) (0) | 2020.10.27 |
[자료구조 및 알고리즘] 깊이우선탐색(DFS) (0) | 2020.10.27 |
[자료구조 및 알고리즘] CH12. Dynamic programming(동적프로그래밍) (0) | 2020.1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