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PYTHON
- 동적 프로그래밍
- 딥러닝
- 백준
- 파이썬
- 그래프
- linux
- 브루트포스
- google coding competition
- AI
- 코딩 테스트
- 네트워크
- 리눅스
- CSS
- 순열
- 알고리즘
- DFS
- 운영체제
- 코딩
- 구글 킥스타트
- kick start
- OS
- 킥스타트
- BFS
- 코딩테스트
- 프로그래머스
- dp
- 동적프로그래밍
- 프로그래밍
- nlp
- Today
- Total
목록CS 기초 (60)
오뚝이개발자

학습 목차 라우팅 프로토콜과 자율시스템 내외부 게이트웨이 프로토콜과 AS의 의미 거리벡터 라우팅 알고리즘의 동작, 예제, 실제 사용 프로토콜 링크상태 라우팅 알고리즘의 동작, 예제, 실제 사용 프로토콜 경로벡터 라우팅 외부 게이트웨이 프로토콜의 도앚ㄱ 자율시스템(AS; Autonomous System) 라우팅 인포메이션을 주고받는 영역 쉽게 말해, 라우팅 정보를 교환해 라우팅 테이블을 만들 때 인터넷에 존재하는 모든 라우팅 정보를 담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래서 어느 범위까지를 커버해야 되는가에 대한 경계가 AS이다.) AS는 하나의 기관 내부를 나타내는 것으로 네트워크와 라우터의 집합으로 구성된다. 그러니, 라우팅의 관점에서 인터넷은 수많은 AS들이 연결된 집합체이다. 각 AS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라..

학습 목차 패킷의 처리 송수신자 및 중간장치의 처리 패킷의 전달 직접전달과 간접절달의 의미 패킷의 전달 방법 라우팅 테이블과 라우팅 프로토콜 정적라우팅과 동적라우팅의 차이점 유니캐스트 라우팅 프로토콜과 멀티캐스트 라우팅 프로토콜의 차이점 패킷의 처리 인터넷은 여러 네트워크의 연결로 구성 -> 송신지에서 목적지까지 가는 경로가 여러 개 존재 네트워크 계층은 "라우팅"으로 패킷의 전달 문제를 해결 송신자의 네트워크 계층은 패킷을 생성 패킷이 너무 크다면 단편화 발생 목적지에 패킷을 전달하기 위해 라우팅 테이블 참조 라우팅 테이블 : 목적지 주소에 대한 최적의 경로를 저장(어느 포트로 내보낼 것인지) 라우팅 프로토콜 : 라우팅 정보를 판단해 라우팅 테이블을 만들어 준다 송신자뿐 아니라 스위치나 라우터와 같은 ..

학습 목차 주소매핑 정적 매핑, 동적 매핑 차이점 ARP와 RARP, BOOTP, DHCP의 필요성과 동작 에러보고 에러보고의 필요성 에러보고 기능의 종류와 의미 질의응답 기능의 종류와 의미 주소 매핑 IP 주소는 인터넷에 접속된 컴퓨터를 구분하기 위한 주소(www와 같은 도메인 네임도 결국 IP주소로 바뀌어 IP패킷의 목적지 주소에 들어감) Ethernet주소와 같은 물리적 주소는 해당 LAN에 접속된 컴퓨터를 구분하기 위한 주소 MAC주소는 LAN에서만 유일하게 식별되며 인터넷 전체에서는 IP주소로 식별함 인터넷은 여러 네트워크들의 집합으로 되어 있어서 각 네트워크 내부의 장치들을 구분하기 위한 주소가 사용됨 MAC주소는 LAN 내에서 각 장치 구분 IP패킷이 해당 LAN을 통과하기 위해서는 IP주소..

학습 목차 IP 패킷의 형태 헤더에 포함된 다양한 필드에 대한 설명 단편화와 옵션 MTU의 의미와 단편화의 필요성 단편화의 구체적 방법 IP 패킷의 옵션 종류와 의미 IP(Internet Protocol) 인터넷 프로토콜인 IP는 비신뢰성(unreliable), 비연결형(connectionless) 데이터그램 프로토콜이다 best-effort 전달 서비스를 제공(최선을 다해 패킷을 보내지만 못갈 수도 있다) 에러제어나 흐름제어가 없다 에러검출만 하고 만약 발견되면 폐기한다 신뢰성이 중요한 전송에서는 TCP를 함께 사용해야 한다(이를 TCP/IP라고 부름) IP에서 패킷을 데이터그램이라고도 한다 헤더의 크기는 20~60바이트로 가변적 IP 패킷의 필드 버전(Version:VER) IP프로토콜의 버전을 나타..

학습 목차 서브넷 주소 설정 실제 기관 네트워크에서의 필요성 마스크의 의미와 표기 슈퍼넷 주소 설정 주소 고갈에 따른 대표 C클래스 주소 설정 방법 주소할당 규칙과 예제 가변길이 주소 지정 클래스 구분 없는 주소 지정 주소 할당 규칙과 예제 서브넷 주소설정(Subnetting=Subnet Addressing) IP주소는 netid와 hostid로 구분된 주소 구조를 갖고 있다. '기관의 외부'에서는 netid만 식별하여 라우팅을 수행한다 '기관 내부'는 사실 여러 개의 서브 네트워크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서브 네트워크를 구분할 방법이 필요함 서브넷팅은 네트워크를 서브넷으로 구분하고, hostid의 일부를 사용해 각 서브넷에 서브넷 식별자(서브넷 id)를 할당하는 방법을 의미 서브넷 id로 사용하는 비..

학습 목표 네트워크 프로토콜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핵심 기능은 라우팅!! 크게 아래의 두가지로 구분 연결지향(Connection Oriented) 프로토콜 : 데이터 전송 전에 반드시 연결설정을 함(ex. 전화망(PSTN)) 비연결형(Connectionless) 프로토콜 : 연결설정을 하지 않고 바로 데이터를 전송(ex. 편지) IP주소의 의미와 클래스 연결지향 프로토콜의 3단계 연결설정(Connection setup=Connection establishment=Call setup) 데이터 전송 연결 해제(Disconnect=Connection clear=Call clear) 연결지향 프로토콜의 특징 연결이 되어있지 않으면 데이터 전송이 불가능 연결설정 단계에서 라우팅을 한다(따라서, 다른 연결에 해당 자..
First Generation(1G) 1세대 휴대전화는 아날로그 통신을 하는 것으로 보내는 주파수와 받는 주파수를 정해놓고 기지국을 통해 아날로그로 서로 받는 형태 사용했던 프로토콜 : AMPS(Advanced Mobile Phone System) - 순방향 채널과 역방향 채널 2개의 아날로그 채널을 사용했던 방식 Second Generation(2G) 2세대는 주로 디지털화된 음성 신호를 위해 설계되었다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은 다양한 1세대 이동전화를 대체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유럽표준이다. 이때, 우리나라에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도입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사용 SM..

네트워크 연결 장치 어떤 계층까지 지원하는 연결을 제공하는지에 따라 4가지 종류가 존재하며, 그에 따라 장치들이 하는 역할과 기능이 완전히 달라진다.(참고로, Transport 계층 위로는 전부 Gateway라고 부른다.) 리피터(Repeater) 물리계층에서 네트워크를 연결해주는 장치 미약해진 신호(0,1)을 받아 원래의 형태로 재생산(repeat)해준다. 애매한 신호의 경우 구분 못함. 즉, 에러 검출 기능이 없다. 브릿지(Bridge) - L2 스위치가 유사한 기능을 한다 물리계층과 데이터링크 계층에서 동작한다.(즉, 리피터의 기능도 같이 하는 셈) 참고로, '브릿지'라는 장치가 따로 있고 L2 스위치는 layer2까지 지원하는 "허브"이다. 브릿지는 필터링(Filtering) 기능을 갖고 있다. ..